본문 바로가기
EG강의

EG 어법강의 #1 동사-문장의 기본

by 이지이지(EGEasy) 2021. 1. 18.

 

EG 수능 어법강의 첫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사-문장의 기본]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기본인 만큼 시험에 많이 출제되고, 정답인 경우가 많습니다.


 

자~이제 시작해보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어떤 유형인지 스스로 파악해보세요~

 

 

[2016_9월_평가원_28번]

During its first half century, games were not played at night, which meant that baseball games, like the traditional work day, [ending / ended] when the sun set. 

 

 

문장의 기본의 핵심은...

우리가 계속 들어왔던 한 문장에 주어 동사는 하나!!! 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보통 동사라고 할 때, 형태가 어떻게 될까요?

 

동사는 [동사원형, 동사(e)s, -ing, -ed, p.p, to V] 등

이렇게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중에서 동사로 쓰일 수 있는 것이 있고, 쓰일 수 없는 것이 있다라는 것!

 

우리말로도 “~하다”, 또는 “~했다”이렇게 말하는 것을 동사라고 하듯이,

영어에서도, 그리고 전 세계의 모든 언어에서 동사는 “현재시제”와 “과거시제” 밖에 없습니다.

 

이것을 영어에 적용을 해보면,

현재시제: 동사원형, 동사(e)s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과거시제: -ed

이렇게만 동사로 쓰이고 나머지 형태는 동사가 아닙니다!!!

 

그런데 마침표로 끝나는 한 문장에서 여러 동사가 나올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요소가 있으면 절과 절이 연결되는 것으로 동사가 여러 개 나올 수 있습니다.

 

1. 접속사: when, while, because, though, …

ex.) He had climbed many a tree when he was a boy.

 

2. (복합)관계대명사: who, which, what, whoever, …

ex.) Houses which overlook the lake costs more.

 

3. (복합)관계부사: when, where, how, why, whenever, …

ex.) We then moved to Paris, where we lived for six years.

 

4. 의문사(간접의문문으로 사용될 경우): who, when, …

ex.) I didn’t know who he was.

 

여기까지만 해도 벅찬데, 

다음의 요소가 생략되었을 때도 동사가 여러 개 나올 수 있습니다.

 

1. 접속사 that

ex.) She said (that) the story was true.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방법은?

→ 타동사 (that) 주어(=명사) 동사

 

2. 목적격 관계대명사

ex.) The boy (whom) I met at the airport was very kind.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생략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방법은?

→ 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 주어(=명사) 동사

 

▶ 출제자의 의도 파악하기

1. 동사 또는 동사에서 파생된 형태에 밑줄

→ 어법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이기 때문에 동사에 밑줄만 그어져 있다면,

문장의 기본을 무조건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문장의 기본을 통과해야지 동사를 가지고 낼 수 있는 다른 유형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 풀이 전략

1. 선택지가 포함된 문장에서 동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소를 모두 찾는다.

2. 선택지가 포함된 문장에서 절과 절을 연결할 수 있는 요소를 모두 찾는다.

3. 동사의 개수 = 1(기본 하나) + 절을 연결할 수 있는 요소의 개수

4. 동사의 개수가 부족할 경우 동사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소가 밑줄이 그어져 있다면 맞는 것이고,

동사의 개수가 충족되었을 경우 동사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소가 밑줄이 그어져 있다면 틀린 것.

 

기출문제 분석 

During its first half century, games were not played at night, which meant that baseball games, like the traditional work day, [ending / ended] when the sun set

 

해석: 그것(야구)의 첫 반세기 동안 경기가 밤에는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그것은 야구 경기가 전통적인 근무일처럼 해가질 때 끝난다는 것을 의미했다.

 

위 문제에서 접속사 등의 역할을 하여 동사의 개수를 증사시켜 주어야 하는 요소로는,

which(관계대명사), that(접속사), when(접속사) 3개가 나와 있다.

 

그러므로 동사는 기본 1개에 3개를 더하여 총 4개의 동사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동사는 were, meant, set 3개만 나와 있으므로,

ending과 ended 중에 동사 역할을 할 수 있는 과거시제 ended가 오는 것이 맞다.

 

 

결 론

1. 여러 동사의 형태 중 동사로 쓰이는 것은 현재시제, 과거시제뿐이다!

2. 한 문장에서 동사의 개수를 늘릴 수 있는 요소를 파악하라!

3. 접속사 that과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생략되는 경우를 파악하라!

4. 문장에서 필요한 동사의 개수는 "1+절과 절을 연결하는 요소의 개수"이다.

 

이상 오늘 강의를 마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동사 두 번째 시간 “병렬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