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 수능 어법강의 일곱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that-접속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어떤 유형인지 파악해보도록 하세요.
[2018_9월_평가원_29번]
What some organisms must starve in nature is deeply regrettable and sad.
that이 어법 문제로 나오는 유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접속사 that
2. 관계대명사 that
3. 대명사 that
EG강의 일곱 번째 강의부터 아홉 번째 강의까지
that에 대해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출제자의 의도 파악하기
→ 관계대명사(특히 what) 또는 that에 밑줄
: 관계대명사 what이 that과 잘 비교되는 이유는
what이 이끄는 절도 명사절, that이 이끄는 절도 명사절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둘 모두 기본적으로 "~하는 것"으로 해석을 하죠.
▶ 풀이 전략
1. 뒷 문장이 완전 → 접속사 that ( O )
2. 뒷 문장이 불완전 → 접속사 that ( X )
대부분의 경우 what으로 고쳐야 함. EG 어법강의 여덟 번째 시간 참고
여러 강의들에서 뒷 문장이 완전한지, 불완전한지 보라고 하는 데,
절과 절을 연결하는 요소(접속사, 관계대명사, 관계부사, 간접의문문절 등)가 이끄는 절은
절과 절을 연결하는 요소 바로 뒤부터 동사를 찾았을 때,
2번째 동사 앞까지가 그 요소가 이끄는 절입니다.
다음 예문을 통해서 살펴보도록 하죠.
ex. 1) Houses which overlook the lake costs more.
→ 관계대명사 which 뒤, 첫 번째 동사 overlook, 두 번째 동사 costs
그러므로 which가 이끄는 절은 which overlook the lake
ex. 2) He had climbed many a tree when he was a boy.
→ 접속사 when 뒤, 첫 번째 동사 was. 두 번째 동사가 없으므로
when이 이끄는 절은 문장 끝까지.
▶ 기출문제 분석
What some organisms must starve in nature is deeply regrettable and sad.
해석: 일부 유기체들이 자연에서 기아를 겪어야 한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럽고 슬프다.
1. 관계대명사 what이 선택지로 나왔으므로, 출제자의 의도가
that-접속사일 수도 있음을 파악.
2. what이 이끄는 절 파악
: what뒤에 나오는 두 번째 동사는 is이므로 is 앞 까지가 what이 이끄는 절
⇒ some organisms must starve in nature.
3. some organisms must starve in nature는 완전한가?
→ 완전하므로 what을 that으로 바꾸어 써야 한다.
▶ 결 론
1. 관계대명사(특히 what) 또는 that에 밑줄이 그어져 있는 것으로 출제자의 의도 파악
2. 뒷 문장이 완전한가 완전하지 않은가로 정답 유무 파악
▶ 추가 설명
접속사 that이 하는 역할은 무엇일까요?
1.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 that이 이끄는 절이 명사절이 되어,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1-1) 주어로 사용
ex.) (That the earth is round) is true.
1-2) 목적어로 사용
ex.) I hope (that she will be back soon).
1-3) 보어로 사용
ex.) The truth is (that he is blind).
2. 동격의 접속사
: idea, fact, news, rumor 등 앞에 나오는 명사와 동격의 의미
ex.) The fact (that he couldn't drive) surprised them.
EG강의 다음 시간에는 "관계대명사 tha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