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지이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앱인벤터로 구구단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두 가지 방식으로 구구단 프로그램을 구현해 볼텐데요.
먼저 첫 번째 프로그램은 프로그래밍 입문자가 보통 생각해 볼 수 있는 방법이구요.
두 번째는 추상화를 통해 좀 더 간결한 코드로 작성한 프로그램입니다.
구구단_입문자용 |
다음은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구구단 프로그램의 화면 구성입니다.
위의 이미지에서 보시듯 1~9까지의 각 숫자에 해당하는 레이블을 9개 만들어주고, 각 계산결과가 각 레이블에 나타나게 하였습니다.
블록 코딩은 매우 간단하지만, 비슷한 과정이 반복되어 있습니다.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각 레이블의 텍스트가 각 숫자에 맞는 계산 결과를 보여주도록 하였습니다.
그래서 총 9개의 레이블 블록을 사용하였습니다. (아래 6개의 블록은 생략하였습니다.)
하지만 여러분도 느끼겠지만 숫자만 다르고 나머지는 모두 같은 내용을 반복하는 것이 썩 좋아보이지는 않습니다.
구구단_추상화 |
다음은 좀 더 프로그래밍적인 사고를 통해 코딩을 단순화한 프로그램 화면 구성입니다.
입문자용 프로그램과는 다르게 구구단 계산 결과를 보여줄 레이블은 하나(lbl_result)밖에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다음은 블록 코딩 화면입니다.
①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했을 때,
② lbl_result의 텍스트를 공백으로 합니다.
→ 버튼을 여러번 클릭할 경우 기존의 내용을 지우기 위한 것입니다.
③ 1~9까지 1씩 증가하면서(1,2,3,....8,9) do 안의 블록을 실행합니다.
④~⑨ lbl_result의 텍스트를 join으로 연결한 텍스트로 표현합니다.
④~⑨의 내용을 이미지로 나타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txt_dan.text=3으로 가정했을 때)
④ 블록은 기존의 계산 값을 저장해두고; 이번의 number가 3이라면 1~2까지의 결과
⑤ \n을 통해 줄바꿈을 하고, ⑥~⑨에서 이번 number에 해당하는 계산을 하는 것입니다.
이전과 비교했을 때 코드가 굉장히 짧아졌죠?
오늘 포스팅에서 보셨듯 같은 결과라 하더라도 코딩을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입니다.
끊임없는 생각과 개선으로 코딩을 최대한 간결화하는 것이 실력이겠죠.
이상 앱인벤터로 구구단 프로그램 만들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