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G 지식창고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글에서 원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글에서는 원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는 세 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1. 문자표(Ctrl + F10)를 사용하여 넣는 방법: 가장 쉬운 방법이라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2. 글자판을 바꾸어 넣는 방법
3. 글자 겹치기를 이용해 넣는 방법
특히, 문자표나 글자판을 바꾸어 원 문자를 넣을 경우에는 한글에서 이미 지정된 문자만을 입력할 수 있는 반면,
글자 겹치기를 이용하면 자신이 원하는 문자나 글자를 다양한 모양의 도형 속에 입력할 수 있습니다.
글자판을 바꾸어 원 문자 입력하기 |
1. 한글 메뉴에서 [도구]-[글자판]-[글자판 바꾸기]를 차례로 클릭합니다. 단축키는 Alt + F2 입니다.
2. 글자판 바꾸기 화면에서 필요에 따라 한국어 원 문자 또는 영어 원 문자로 설정합니다.
(※ 보통 1, 2글자판은 항상 사용하는 한국어, 영어로 그대로 두고, 3, 4 글자판을 많이 설정합니다.
1, 2 글자판을 선택해도 무방합니다.)
3. 3글자판을 사용하기 위해 오른쪽 Shift+Space를 동시에 누릅니다.
키보드를 타이핑해보면 기본적으로 키보드 자판에 있는 키의 원문자가 입력됩니다.
(ex. ㄱ → ㉠)
※ Alt + F1을 눌러 한국어 원 문자와 영어 원 문자의 자판을 보게 되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이 상태에서, Shift키를 눌러 보면 추가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를 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 원 문자는 기본적으로 ㉠~㉭, ①~⑩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는 ㉮~㉻, ⑪~⑳까지 넣을 수 있습니다.
영어 원 문자는 기본적으로 ⓐ~ⓩ, ①~⑩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는 Ⓐ~Ⓩ, ⑪~⑳까지 입력할 수 있습니다.
글자 겹치기를 이용해 원 문자 넣기 |
1. 한글 메뉴에서 [입력]-[입력 도우미]-[글자 겹치기]를 차례로 클릭합니다.
2. 글자 겹치기 화면에서 겹쳐 쓸 글자, 겹치기 종류, 글자 크기 조절 등을 설정하고 [넣기]를 클릭합니다.
- 겹쳐 쓸 글자: 도형 안에 삽입할 글자를 입력합니다.
- 겹치기 종류: 어떤 도형 안에 글자를 넣을지 선택합니다.
- 글자 크기 조절: 도형 안에 들어갈 글자의 크기를 설정합니다.
- 모양 안에 글자 겹치기: 체크를 하면 도형 안의 글자가 서로 겹쳐 표시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