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 수능 어법강의 여섯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동사-대동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경향을 파악해보도록 하세요.
[2018_11월_수능_29번]
Never before and never since has the quality of monumentality been achieved as fully as it did in Egypt.
대동사는 동사(구)를 대신하는 요소로써,
조동사가 대동사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많은 학생들은 조동사라고 하면,
will, can, may, must, should만 생각을 하죠.
하지만, 영어에서 조동사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will, can, may, must, should
2. be동사
3. have(완료시제를 만들 때, ‘먹다, 가지다’의 의미일 때는 일반동사)
4. do (1~3이 없고, 일반동사를 대신할 때)
조동사가 위의 같은 요소가 있다는 것을 일일이 기억할 필요는 없고,
조동사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알면 쉽게 이해가 됩니다.
조동사들이 가진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1. 의문문을 만들 때 문장 맨 앞에 온다.
ex.) Can you swim?
2. 부정문을 만들 때 바로 뒤에 not이 온다.
ex.) I cannot swim.
▶ 출제자의 의도 파악하기
1. 주어 조동사 (조동사 뒤에 필요한 요소가 나오지 않는 경우): 조동사에 밑줄
ex.) Mom is a very good cook, but Dad is not.
→ 밑줄 친 is뒤에 형용사나 명사가 나와 보어 역할을 해주던가,
현재진행형이면 -ing, 수동태이면 -p.p가 따라와야 하나,
나와있지 않으므로, 이 때 be동사 is는 대동사로
is a good cook을 대신하는 것으로 볼 수 있죠.
2. 도치구문에서의 조동사 (주어가 대명사일 때는 도치가 일어나지 않음): 조동사에 밑줄
2-1. 문두의 so / either / neither / nor 조동사 주어 ~
(주어도 그래 / 그렇지 않아)
ex.) My brother can stand on his hands, and so can I.
2-2. as 조동사 주어 ~ (주어가 ~하는 것처럼) / than 조동사 주어 ~ (주어가 ~ 하는 것 보다)
ex.) He is very tall, as is his father.
ex.) He earns a lot more than do his friends.
▶ 풀이 전략
1. 밑줄 친 대동사가 앞의 동사를 잘 대신하고 있는가?
→ 보통 앞에 나오는 조동사를 쓰면 맞습니다.
ex.) Animals should have the same rights to be protected as human beings should.
→ 앞에 조동사가 없는 경우에는 일반동사를 대신하는 것이므로, do를 쓰면 됩니다.
ex.) I think as you do.
2. 주어와 수일치는 잘 되어 있는가?
→ be동사, have, do 등이 대동사로 쓰이고, 현재시제일 때 주어와 수일치를 시켜주어야 합니다.
특히 도치 구문에서는 주어가 뒤에 나오므로 주의를 해야 합니다.
ex.) Your heart rate increases, as does your metabolic rate.
▶ 기출문제 분석
Never before and never since has the quality of monumentality been achieved as fully as it did in Egypt.
해석: 그 전에도, 그 이후에도 기념비성이라는 특성이 이집트에서처럼 완전히 달성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위의 문항은 부정어 도치까지 일어난 문장으로 좀 복잡한데요.
일단 원래 어순으로 바꾸어 보면
The quality of monumentality has never before and never since been achieved as fully as it did in Egypt.
이렇게 되겠네요.
Step 1) 출제자의 의도 파악
→ 주어 it 조동사 ~: do가 하다 일반동사의 의미라면 뒤에 목적어가 없음.
따라서 출제자의 의도가 대동사라는 것을 파악
Step 2) 앞의 동사를 잘 대신하고 있는가?
→ 앞에 조동사는 완료시제의 has와 수동태를 만들 때의 be동사 been이 나와 있으므로,
밑줄 부분에는 has 또는 was가 들어가야 함.
→ 해설지에는 was가 맞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의미상 has로 써도 무방할 듯.
Step 3) 주어와의 수일치
→ 완료시제를 쓰기 위해서는 주어가 it 단수이므로 has로 써주어야 함.
→ “이집트에서 달성된 것처럼” 단순히 과거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주어가 it 단수이므로 was를 써주어야 함.
▶ 결 론
1. 출제 유형이 대동사인지 파악
2. 밑줄 친 요소 앞에 나오는 조동사를 파악
3. 주어와 수일치
EG강의에서 동사 부분은 이제 모두 다 다루었습니다.
한 강의씩 잘 따라오신 모든 분들 수고 많으셨습니다.
EG강의 다음 시간에는 “접속사 tha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