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G 어법 기출해설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2017년(2018학년도) 11월 수능 어법 문제를 풀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sychologists who study giving behavior ① have noticed that some people give substantial amounts to one or two charities, while others give small amounts to many charities. [이지이지 앱 86번]
[해석] 기부하는 행위를 연구하는 심리학자들은 어떤 사람들은 한두 자선단체에 상당한 액수를 기부하는 반면에, 어떤 사람들은 많은 자선단체에 적은 액수를 기부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출제자의 의도] 동사-수일치
→ 문장에 필요한 동사가 하나 부족하고, 현재시제에 밑줄이 그어져 있는 것으로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3 동사-수일치
2021/01/18 - [EG강의] - EG 어법강의 #1 동사-문장의 기본 EG 수능 어법강의 세 번째 시간. [동사-수일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 경향을 파악해보도록 하죠. [2019_11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has
Psychologists (who study giving behavior) have ~. 에서 ( ) 부분은 Psychologists를 수식해 주는 요소일 뿐 수일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주어를 한 단어로 찾으면 psychologists가 되고, 따라서 have가 오는 것이 맞다.
Those who donate to one or two charities seek evidence about what the charity is doing and ② what it is really having a positive impact. [이지이지 앱 87번]
[해석] 한두 자선단체에 기부하는 사람들은 그 자선단체가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와 그것이 실제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에 관한 증거를 찾는다.
[출제자의 의도] 접속사
→ what이 선택지로 나온 것으로 보아 출제자의 의도가 what 또는 접속사 임을 알 수 있다.
EG 어법강의 #14 접속사(완결)
EG 어법강의 열 네 번째 시간이자, 마지막 시간 이번 시간에는 [접속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유형을 살펴보도록 하세요. [2020_12월_수능_29번] Experimental results
egeasy.tistory.com
[풀이]
문제에서 what 뒷 문장이 완전하므로 접속사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그리고 about의 목적어 자리로 명사절을 이끌어야 하고, 문맥상 '인지 아닌지'의 의미를 가진 whether이 들어가야 한다.
[문장 분석]
Those (who donate to one or two charities) seek evidence about [what the charity is doing] and [whether it is really having a positive impact].
첫 번째 괄호로 묶인 관계대명사절은 앞의 Those를 꾸며주고 있으며, 이 때 those who가 되므로 뜻은 '~하는 사람들'이다. 뒤에 대괄호로 묶인 요소들은 about 전치사의 목적어로 모두 명사절을 이끌어 등위접속사 and로 연결되어 있다.
Those who give small amounts to many charities are not so interested in whether what they are ③ doing help others ― psychologists call them warm glow givers. [이지이지 앱 88번]
[해석] 많은 자선단체에 적은 액수를 내는 사람들은 그들이 하는 일이 다른 사람들을 돕는지에는 그렇게 많은 관심을 두지 않는다. 심리학자들은 그들을 따뜻한 불빛 기부자라고 부른다.
[출제자의 의도] 능동vs수동
→ 이미 문장에서 필요한 동사는 모두 나와있고, 현재분사가 선택지인 것으로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4 동사-능동vs수동
EG 수능 어법강의 네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동사-능동vs수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진행vs완료이기도 합니다. 능동vs수동은 어법 문제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선택지입니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done
그들은 무엇인가를 하는 능동적인 존재이므로 현재분사를 사용하는 것이 옳다. doing의 목적어(명사)가 없다고 생각하여 수동으로 써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what이 관계대명사로써 그 역할을 대신 해주고 있다.
[문장 분석]
Those (who give small amounts to many charities) are not so interested in [whether {what they are doing} help others] ― psychologists call them warm glow givers.
( )는 those를 꾸며주는 관계대명사 절이다. [ ]안의 요소는 앞의 전치사 in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며, { }은 whether이 이끄는 명사절 안의 주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다.
Knowing that they are giving makes ④ them feel good, regardless of the impact of their donation. [이지이지 앱 89번]
[해석] 그들이 내는 기부가 끼치는 영향과 관계없이 자신들이 기부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그들을 기분 좋게 해준다.
[출제자의 의도] 대명사
→ 인칭대명사가 선택지로 나와있고, 특히 목적어 자리에 있는 것으로 보아 재귀대명사를 묻는 것이다.
EG 어법강의 #13 대명사
안녕하세요. EG 어법강의 열 세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명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경향을 살펴보도록 하세요. [2019_9월_평가원_29번] As long as he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themselves
them이 포함된 문장의 주어는 동명사구 knowing that they are giving이다. 따라서 주어와 목적어 them이 다르고, 문맥상 they를 받아주고 있으므로, them이 들어가는 것이 옳다.
[문장 분석]
[Knowing (that they are giving)] makes them feel good, regardless of the impact of their donation.
[ ]는 문장의 주어 역할을 하는 동명사구이며, ( )는 동명사구 내에서 knowing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다.
In many cases the donation is so small ― $10 or less ―that if they stopped ⑤ to think, they would realize that the cost of processing the donation is likely to exceed any benefit it brings to the charity. [이지이지 앱 90번]
[해석] 많은 경우 기부금은 10달러 이하의 매우 적은 금액이어서, 곰곰이 생각해 본다면, 그들은 기부금을 처리하는 비용이 그것(기부금)이 자선단체에 가져다주는 모든 이점을 넘어서기 쉽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출제자의 의도] 동사-앞에 나오는 동사
→ 문장에 이미 필요한 동사는 모두 나와있고, 선택지 앞에 특수한 동사 stop이 있는 것으로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한다.
EG 어법강의 #5 동사-앞에 나오는 동사
EG 수능 어법강의 다섯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동사-앞에 나오는 동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목이 좀 길고 복잡하긴 하지만, 내용은 매우 쉽고, 선택지로만 출제되지, 정답으로 출제되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thingking
문맥상 생각하던 것을 멈추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려고 멈추어 본다면으로 해석되어야 하므로 to부정사가 들어가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