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G강의

EG 어법강의 #5 동사-앞에 나오는 동사

by 이지이지(EGEasy) 2021. 1. 19.
EG 어법강의 #5 동사-앞에 나오는 동사

EG 수능 어법강의 다섯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동사-앞에 나오는 동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목이 좀 길고 복잡하긴 하지만,

내용은 매우 쉽고, 선택지로만 출제되지,

정답으로 출제되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그래도 방심은 금물!!!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경향을 파악해보도록 하세요.

 

[2017_11월_수능_28번]

In many cases the donations is so small ― $10 or less ― that if they stopped to think, they would realize

that the cost of processing the donation is likely to exceed any benefit it brings to the charity.

 

▶ 출제자의 의도 파악하기

 

1. “문장의 기본” 통과: 선택지(밑줄)를 제외하고 문장에서 필요한 동사는 모두 충족

2021/01/18 - [EG강의] - EG 어법강의 #1 동사-문장의 기본 참고

 

2. 밑줄 친 부분 앞에 다음과 같은 요소가 나오는 경우

 

①. 목적격보어로 동사원형(지각동사는 -ing 포함) 또는 과거분사를 취하는 동사

[ 지각동사(see, hear ⋯ 등), 사역동사(let, make, have) ]

- 목적어가 목적격보어에 대해 능동인 경우 목적격보어: 동사원형(지각동사는 ing도 가능)

   ex.) I saw him get(getting) on a car.

- 목적어가 목적격보어에 대해 수동인 경우 목적격보어: 과거분사

   ex.) I made my car repaired.

 

②. 소위 일컫는 준사역동사

②-1 help: help 목적어 목적격보어

- 목적격보어 자리에는 동사원형 또는 to부정사 아무거나 가능

   ex.) I helped my mom (to) wash the dishes.

 

②-2 get: get 목적어 목적격보어

- 목적어가 목적격보어에 대해 능동이면, 목적격보어는 to부정사

ex.) It's impossible to get her to understand the theory.

- 목적어가 목적격보어에 대해 수동이면, 목적격보어는 과거분사

ex.) I must get my hair cut(과거분사).

 

③. to부정사를 취하는 동사 또는 숙어

[ want, need, wish, hope, expect, plan, decide, choose, intend, promise … 등 ]

[ be likely, have no choice but … 등 ]

ex.) This match was never likely to be a classic.

 

④. 동명사를 취하는 동사 또는 숙어

[ enjoy, finish, quit, avoid, mind, deny … 등 ]

[ give up, put off … 등 ]

ex.) You ought to give up smoking.

 

⑤-1. to부정사, 동명사 모두 취하는 동사(의미 차이 X)

[ like, love, hate, start, begin, continue … 등]

ex.) I didn’t start worrying(=to worry) until she was 2 hours late.

 

⑤-2. to부정사, 동명사 모두 취하는 동사(의미 차이 O)

[ remember, forget, regret, try, stop ]

 

• remember + to V: ~할 것을 기억하다.

  ex.) I remembered to post the letter.

• remember + -ing: ~했던 것을 기억하다.

  ex.) I remember posting the letter.

 

• forget + to V: ~할 것을 잊어버리다.

  ex.) I forgot to do my homework.

• forget + -ing: ~했던 것을 잊어버리다.

  ex.) I forget doing my homework.

 

• regret + to V: ~하게 되어 유감이다.

  ex) They would regret to give up their freedom.

• regret + -ing: ~했던 것이 유감이다.

  ex.) They regret giving up their freedom.

 

• try + to V: ~하려고 노력하다.

  ex.) Try to remember all the good times you had.

• try + -ing: 시험삼아 ~해보다.

  ex.) Have you ever tried windsurfing?

 

• stop + to V: ~하기 위해 멈추다.

  ex.) We stopped to take pictures.

• stop + -ing: ~하던 것을 멈추다.

  ex.) We stopped taking pictures.

 

위의 예문 중에서, remember, forget, regret에 대해

많은 학생들이 착각을 하고 있는 것이 있는데요!

 

일부분의 선생님들께서 설명하시기를,

보통 to부정사는 미래,

동명사는 과거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간단하게만 설명을 하시는데,

 

여기에서 학생들은 착각하지 말아야 할 부분이

to부정사는 미래시제와 사용해야 하고(이렇게 헷갈려하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동명사는 과거시제와 사용해야 한다.(이렇게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하는 것이 좋을까요?

to부정사, 동명사 둘 모두 취하는 동사에 있어...

그 문장의 동사의 시제를 볼 것이 아니라,

동사 뒤에 오는 내용이 완료되었느냐, 완료되지 않았느냐로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사 뒤에 오는 내용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to부정사

동사 뒤에 오는 내용이 완료되었으면 동명사

 

위의 예 중에서 forget을 예로 들면,

만약 내가 숙제를 하지 않아 선생님에게 혼이 난 상황이라면...

 

I forgot to do my homework. 으로 써야 합니다.

 

주절의 동사 forgot이 과거이더라도 이를 신경 쓸 것이 아니라

뒤에 오는 내용,

do my homework 숙제를 하는 것은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것이므로...

to do my homework로 써야하는 것입니다.

 

▶ 기출문제 분석

In many cases the donations is so small ― $10 or less ― that if they stopped to think, they would realize 

that the cost of processing the donation is likely to exceed any benefit (that) it brings to the charity.

 

해석: 많은 경우 기부금은 10달러 이하의 매우 적은 금액이어서, 곰곰이 생각해 본다면, 그들은 기부금을 처리하는 비용이 그것(기부금)이 자선단체에 가져다주는 모든 이점을 넘어서기 쉽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Step 1) 위 문제에서 절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요소가

that, if, that, that 4개가 있으므로,

is, stopped, would realize, is, brings 동사 5개가 나오는 것이 맞아,

“문장의 기본”은 통과

 

Step 2) 밑줄 친 요소 앞에 stopped를 확인,

출제자의 의도가 앞에 나오는 동사임을 파악

 

Step 3) 문맥상 생각해보기 위해 멈추어야 ~을 깨닫게 될 것이므로, 

to부정사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

 

▶ 결 론

1. 먼저 “문장의 기본”을 통과했는지 확인

2. 1번을 통과하고, 밑줄 친 요소 앞의 동사가 무엇인지 확인할 것

 

EG강의 다음 시간에는 “동사-대동사”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