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G 어법 기출풀이.
이 포스팅에서는 2016년 6월 평가원 어법 기출문제 28번을 해설해 드리겠습니다.

If an animal is innately programmed for some type of behaviour, then there ① are likely to be biological clues. [이지이지 앱 40번]
[해석] 어떤 동물이 어떤 종류의 행동을 하도록 선천적으로 타고났다면, 생물학적인 단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출제자의 의도] 동사-수일치
→ 선택지를 제외하면 문장에서 필요한 동사가 하나 부족하고, 현재시제가 선택지로 나온 것으로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3 동사-수일치
2021/01/18 - [EG강의] - EG 어법강의 #1 동사-문장의 기본 EG 수능 어법강의 세 번째 시간. [동사-수일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 경향을 파악해보도록 하죠. [2019_11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is
there is(are)~ 구문으로 주어는 뒤에 나오는 명사 biological clues이므로, are은 적절하다.
It is no accident that fish have bodies which are streamlined and ② smooth, with fins and a powerful tail. [이지이지 앱 41번]
[해석] 물고기가 지느러미와 강력한 꼬리를 갖춘 유선형이고 매끄러운 몸을 가지고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출제자의 의도] 형용사vs부사
→ 형용사가 선택지로 나온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12 형용사vs부사
안녕하세요. EG 어법강의 열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형용사vs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유형을 파악해보세요. [2018_4월_전국연합_28번] In neither case was i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smoothly
선택지가 속한 절의 동사는 be동사 are이고, be동사는 대표적인 2형식 동사로 뒤에 보어가 와야 한다. 보어로 사용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 또는 형용사이므로, are은 적절하다.
Similarly, if you found a dead bird or mosquito, you could guess by looking at ③ its wings that flying was its normal mode of transport. [이지이지 앱 42번]
[해석] 마찬가지로, 여러분이 죽은 새나 모기를 발견한다면, 그 날개를 보고서 비행이 그것의 보편적인 이동 방식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출제자의 의도] 대명사
→ 인칭대명사가 선택지로 나온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13 대명사
안녕하세요. EG 어법강의 열 세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명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경향을 살펴보도록 하세요. [2019_9월_평가원_29번] As long as he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their
밑줄 친 부분이 받아주는 명사는 dead bird or mosuito이다. 받아주는 명사가 or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단수취급해야 하며 따라서 its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다.
[문장 분석]
Similarly, if you found a dead bird or mosquito, you could guess by looking at its wings [that flying was its normal mode of transport].
[ ]의 that절은 명사절로 guess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목적어가 너무 길어 맨 뒤로 보낸 경우이다.
The extent to which they are ④ finding varies from animal to animal and from activity to activity. [이지이지 앱 43번]
[해석] 그것들(생물학적인 단서)이 발견되는 정도는 동물마다 다르고 행동마다 다르다.
[출제자의 의도] 동사-능동vs수동
→ 선택지를 제외하고 문장에서 필요한 동사는 모두 존재하며, 현재분사(-ing)가 선택지로 나온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4 동사-능동vs수동
EG 수능 어법강의 네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동사-능동vs수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진행vs완료이기도 합니다. 능동vs수동은 어법 문제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선택지입니
egeasy.tistory.com
[풀이]
선택지의 주어는 주격관계대명사 they(=biological clues)이고, 생물학적 단서는 발견되어지는 수동적인 존재이므로, found로 고쳐야 한다. 또는 finding 뒤에 목적어(명사)가 없으므로 수동의 의미인 과거분사를 써야 한다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문장 분석]
The extent [to which they are found] varies from animal to animal and from activity to activity.
[ ]한 관계부사절로 앞의 선행사 extent를 꾸며 준다. 절과 절을 연결하는 요소가 이끄는 절이 어디까지인지는 EG강의 7강 접속사 that 참고.
For example, it is impossible to guess from their bodies that birds make nests, and, sometimes, animals behave in a way quite contrary to ⑤ what might be expected from their physical form: ghost spiders have trementously long legs, yet they weave webs out of very short threads. [이지이지 앱 44번]
[해석] 예를 들어, 새들이 둥지를 짓는 것을 그들의 몸에서 추측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때로 동물들은 유령거미가 엄청나게 긴 다리를 가지고 있지만 매우 짧은 가닥으로 거미집을 짓는 것처럼 그들의 신체적 형태에서 예상될 수 있는 것과는 정반대의 방식으로 행동한다.
[출제자의 의도] what
→ what이 선택지로 나온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11 what
EG 수능 어법강의 열 한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wha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유형을 파악해보도록 하세요. [2019_6월_평가원_29번] Then the next time we hear it, we h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that 또는 which
선택지 앞의 문장이 불완전하고(전치사 to의 목적어가 없음), 뒷 문장도 주어가 없어 문장이 불완전하므로 what을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다.
[문장 분석]
For example, it is impossible to guess from their bodies [that birds make nests], and, sometimes, animals behave in a way quite contrary to (what might be expected from their physical form): ghost spiders have trementously long legs, yet they weave webs out of very short threads.
[ ]한 부분의 that절은 명사절로 guess의 목적어 역할을 하며, 목적어가 길어 뒤로 보낸 경우이다.
( )한 what절은 명사절로 전치사 to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