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 수능 어법강의 네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동사-능동vs수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진행vs완료이기도 합니다.
능동vs수동은 어법 문제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선택지입니다.
가장 자주 등장하는 선택지이니 만큼 유형도 다양한데요.
일단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경향을 파악해보도록 하세요.
[2020_12월_수능_29번]
Scientists who experiment on themselves can, functionally if not legally, avoid the restrictions associated with experimenting on other people.
▶ 출제자의 의도 파악하기
1. 문장의 기본 통과: 선택지(밑줄)를 제외하고 문장에서 필요한 동사가 모두 나와 있어야 함.
2021/01/18 - [EG강의] - EG 어법강의 #1 동사-문장의 기본 참고
2. 동사 또는 동사에서 파생된 형태에 밑줄
→ -ing(현재분사) 또는 p.p(과거분사)에 밑줄 친 경우가 대다수
다음 예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The tree standing on a hill is very tall.
위의 예문에서, 문장의 동사는 is입니다.
따라서 동사가 더 추가될 필요는 없는 것이죠.
그래서 문장의 기본을 통과하고 ing형태에 밑줄이 그어져 있기 때문에,
이 때 출제자의 의도는 바로 능동vs수동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풀이 전략
1. 명사 전위 수식(자주 출제되지는 않음)
ex.) Used cars are usually cheaper than new ones.
→ 수식받는 요소 자동차는 사용된(수동이자 완료) 자동차일까요?
사용중인 자동차일까요? 당연히 사용된 자동차이겠죠.
→ 수식받는 요소가 능동인지 수동인지 파악!
2. 명사 후치 수식
ex.) Watches (made in Switzerland) are the best in the world.
→ watches는 made in Switzerland의 수식을 받고 있죠.
그리고 만들어지는 수동의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made를 써야 겠죠.
→ 수식받는 요소가 능동인지 수동인지 파악!
3. 보어로 사용될 경우(2형식, 5형식)
ex.) I found the music interesting.
→ 5형식 문장으로 목적어 음악은 목적격 보어 (사람들에게)
흥미로움을 주는 능동적인 입장이므로, 현재분사를 써야 하죠.
→ 2형식에서는 주격보어이므로, 주어가 능동인지 수동인지 파악,
5형식에서는 목적격보어 이므로, 목적어가 능동인지 수동인지 파악!
4. 분사구문
ex.) Listening to music, she reads a book.
→ 분사구문은 주절의 주어와 부사절의 주어가 같을 때 생략되므로,
주절의 주어 she는 음악을 듣는 능동적인 입장이므로, 현재분사를 쓰는 것이 맞습니다.
→ 주절의 주어를 찾고, 그 주어가 밑줄 친 요소의 능동적 존재인지 수동적 존재인지 파악!
5. 접속사 (주어+be동사 생략) 분사
ex.) While having a dinner, do not use your mobile phone.
→ 접속사 다음에는 주어와 be동사가 함께 생략될 수 있는데,
이 때 주어는 주절의 주어와 같을 때에만 생략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주절의 주어 you(명령문이므로)는 저녁을 먹는 능동적인 입장이므로,
현재분사를 쓰는 것이 맞습니다.
→ 주절의 주어를 찾고, 그 주어가 밑줄 친 요소의 능동적 존재인지 수동적 존재인지 파악!
Tip
위의 1번과 3번에는 해당되지 않으나, 능동vs수동 유형별 출제빈도를 보았을 때,
2, 4, 5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고, 동사는 타동사인 경우가 많음.
타동사가 능동으로 쓰일 때는 뒤에 목적어(명사)가 있어야 하고,
수동으로 쓰일 때는 뒤에 목적어(명사)가 없어야 한다는 것을 응용하여
쉽게 해결할 수도 있음.
ex.) Regardless of the type of information [disclosing / disclosed], clients~
→ disclose(폭로하다)는 타동사이고, 뒤에 목적어(명사)가 없으므로, 과거분사가 맞음.
▶ 기출문제 분석
Scientists who experiment on themselves can, functionally if not regally, avoid the restrictions associated with experimenting on other people.
해석: 자신을 실험하는 과학자들은, 법률적으로는 아니지만, 직무상으로는 다른 사람들을 실험하는 것과 관련된 규제를 피할 수 있다.
Step 1) 위 문제에서 동사는 experiment, avoid 2개가 나오고,
관계대명사 who가 하나 있기 때문에 문장에 필요한 동사는 모두 나와 있으므로
“문장의 기본”은 통과
Step 2) 과거분사에 밑줄이 있으므로,
출제자의 의도가 능동vs수동임을 파악
Step 3) 수식 받는 restrictions(규제)는 스스로 관련하는 것이 아닌
관련되어지는 것이므로 수동의 의미인 과거분사를 쓰는 것이 맞다.
Tip) associate(관련짓다)는 타동사인데
뒤에 목적어(명사)가 없으므로 과거분사로 사용해야 한다.
▶ 결 론
1. 먼저 “문장의 기본”을 통과했는지 확인
2. 1번을 통과하고, 동사의 유형(특히 -ing 또는 p.p)에 밑줄이 그어져 있다면 능동vs수동이 의도라는 것을 파악
3. 분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 유형에 맞게 해결 방법 대입
4. 많은 경우 뒤에 목적어가 있는지 없는지로 파악할 수 있음
EG강의 다음 시간에는 “동사-앞에 나오는 동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