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G 어법 기출풀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17년(2018학년도) 9월 평가원 모의고사 어법 기출문제를 해설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The lack of real, direct experience in and with nature has caused many children to regard the natural world as mere abstraction, that fantastic, beautifully filmed place ① filled with endangered rainforests and polar bears in peril. [이지이지 앱 76번]
[해석] 자연 속에서 그리고 자연과 함께하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경험의 부족은 많은 아이들이 자연 세계를 단지 추상적인 개념, 즉 멸종 위기의 열대 우림과 위험에 처한 북극곰으로 가득한 그렇게 환상적인, 아름답게 영화화된 장소로 여기게 해 왔다.
[출제자의 의도] 동사-능동vs수동
→ 선택지를 제외하고 문장에서 필요한 동사는 모두 나와 있으며, 과거분사가 선택지인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4 동사-능동vs수동
EG 수능 어법강의 네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동사-능동vs수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진행vs완료이기도 합니다. 능동vs수동은 어법 문제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선택지입니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filling
선택지를 제외하고 문장에서 필요한 동사는 모두 나왔으므로, filled는 과거분사로 보아야 하며, 문맥상 바로 앞의 filmed place를 수식해주고 있다. 영화화된 장소는 스스로 채우는 것이 아니라, 채워지는 수동의 입장이므로 과거분사로 수식해 주는 것이 맞다.
또는 fill은 타동사로 뒤에 목적어(명사)가 있어야 하는데, 목적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수동의 의미인 과거분사를 써야 한다는 식으로 해결할 수도 있다.
[문장 분석]
The lack of real, direct experience in and with nature has caused many children to regard the natural world as mere abstraction, [that fantastic, beautifully filmed place (filled with endangered rainforests and polar bears in peril)].
[ ] 부분은 명사구로써, 앞의 abstraction과 동격 관계이다. 여기에서 that은 '그렇게' 정도의 의미로 부사로 사용되었다.
( ) 부분은 과거분사구로 앞의 filmed place를 수식해주고 있다.
This overstated, often fictionalized version of nature is no more real ― and yet no less real ― to them than the everyday nature right outside their doors, ② waits to be discovered in a child's way, at a child's pace. [이지이지 앱 77번]
[해석] 이렇게 과장되고 자주 허구화된 형태의 자연은 바로 문밖에서 아이들의 방식과 속도로 발견되기를 기다리는 일상의 자연보다 그들에게 더 현실적이지 않지만, 덜 현실적이지도 않다.
[출제자의 의도] 동사-문장의 기본
→ 동사에서 파생된 요소가 선택지로 나오면 무조건 문장의 기본을 가장 먼저 의심해 보아야 한다.
EG 어법강의 #1 동사-문장의 기본
EG 수능 어법강의 첫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사-문장의 기본]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기본인 만큼 시험에 많이 출제되고, 정답인 경우가 많습니다. 자~이제 시작해보겠습니다. 먼저
egeasy.tistory.com
[풀이]
문제에서 절과 절을 연결하는 요소는 아무것도 나와 있지 않으므로, 동사는 is 하나면 충분하다. 하지만 waits는 현재시제인 동사이기 때문에, 문맥상 앞의 명사구 the everyday nature right outside doors를 수식해주는 현재분사 waiting으로 고쳐야 한다.
Consider the University of Cambridge study which found that a group of eight-year-old children was able to identify ③ subtantially more characters from animations than common wildlife species. [이지이지 앱 78번]
[해석] 여덟 살 난 한 집단의 아이들이 흔한 야생의 종보다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상당히 더 많이 구별해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 케임브리지 대학의 연구를 생각해 보라.
[출제자의 의도] 형용사vs부사
→ 부사가 선택지로 나온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12 형용사vs부사
안녕하세요. EG 어법강의 열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형용사vs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유형을 파악해보세요. [2018_4월_전국연합_28번] In neither case was i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substantial
선택지는 뒤에 나오는 형용사를 꾸며주므로 부사가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또는 선택지를 제외하고도 문장이 성립하므로, 선택지에는 문장에서 쓸모 없는 부사가 들어가야 한다는 식으로 풀이할 수 있다.
One wonders whether our children's inherent capacity to recognize, classify, and order information about their environment ― abilities once essential to our very survival ― is slowly devolving to facilitate life in ④ their increasingly virtualized world. [이지이지 앱 79번]
[해석] 사람들은 우리 아이들이 자신들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분류하며, 체계화할 내재적 능력, 즉 한때 바로 우리의 생존에 필수적이었던 능력이 서서히 퇴화하여 점점 더 가상화된 세계에서의 삶을 촉진하는지 궁금해진다.
[출제자의 의도] 대명사
→ 대명사가 선택지로 나온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13 대명사
안녕하세요. EG 어법강의 열 세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명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경향을 살펴보도록 하세요. [2019_9월_평가원_29번] As long as he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his 또는 her 또는 its
소유격 대명사가 선택지로 나온 경우는 다른 것을 더 따질 필요 없이 선택지가 받아주는 명사를 잘 찾으면 된다. 문제에서는 children을 받아주므로 their을 쓰는 것이 적절하다.
It's all part of ⑤ what Robert Pyle first called "the extinction of experience." [이지이지 앱 80번]
[해석] 그것은 모두 Robert Pyle이 처음으로 '경험의 소멸'이라고 불렀던 것의 일부이다.
[출제자의 의도] what
→ what이 선택지로 나온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11 what
EG 수능 어법강의 열 한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wha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유형을 파악해보도록 하세요. [2019_6월_평가원_29번] Then the next time we hear it, we h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that
선택지 앞이 불완전한 문장이고(명사가 없음) 뒷 문장도 불완전(call은 5형식 동사로써 뒤에 목적어 목적격 보어가 와야하나, 목적어가 없다.)하므로 선택지에 what을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