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G 어법 기출해설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2020년(2021학년도) 수능 어법 문제 풀이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Scientists who experiment on themselves can, functionally if not legally, avoid the restrictions ① associated with experimenting on other people. [이지이지 앱 153번]
[해석] 자신을 실험하는 과학자들은, 법률적으로는 아니지만, 직무상으로는 다른 사람들을 실험하는 것과 관련된 규제를 피할 수 있다.
[출제자의 의도] 동사-능동vs수동
→ 문장에서 필요한 동사는 이미 모두 나와 있고, 과거분사가 선택지로 나온 것으로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4 동사-능동vs수동
EG 수능 어법강의 네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동사-능동vs수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진행vs완료이기도 합니다. 능동vs수동은 어법 문제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선택지입니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associating
문제에서 나온 동사는 experiment, avoid 2개가 있으며, 절을 연결해 주는 요소로는 who 하나가 있으므로, 문장에서 필요한 동사는 모두 나와 있다. if not의 경우 '~은 아니더라도' 숙어로 생각하면 된다. 따라서, associated는 동사로 쓰이는 과거시제가 아니라 동사가 아닌 과거분사로 보아야 하고, restrictions를 후치 수식하고 있으며, 관련 있는 요소인 restrictions는 관련되어지는 수동의 의미가 맞으므로 밑줄에는 과거분사가 쓰이는 것이 맞다. 또는 associate는 '관련 짓다'라는 타동사인데, 뒤에 목적어(명사)가 없는 것으로 보아 수동의 과거분사로 쓰이는 것이 맞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They can also sidestep most of the ethical issues involoved: nobody, presumably, is more aware of an experiment's potential hazards than the scientist who devised ② it. [이지이지 앱 154번]
[해석] 그들은 또한 관련된 윤리적인 문제도 대부분 피할 수 있는데, 실험을 고안한 과학자보다 그것의 잠재적인 위험을 더 잘 알고 있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출제자의 의도] 대명사
→ 인칭대명사가 선택지인 것으로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13 대명사
안녕하세요. EG 어법강의 열 세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명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경향을 살펴보도록 하세요. [2019_9월_평가원_29번] As long as he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them 또는 itself
밑줄은 문맥상 experiment를 받아주어야 하며, 주어 who(=scientist)와 다르기 때문에 단순 인칭대명사 it이 오는 것이 맞다.
Nonetheless, experimention on oneself remains ③ deeply problematic. [이지이지 앱 155번]
[해석]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실험하는 것은 여전히 매우 문제가 된다.
[출제자의 의도] 형용사vs부사
→ 부사가 선택지로 나온 것으로 보아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12 형용사vs부사
안녕하세요. EG 어법강의 열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형용사vs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유형을 파악해보세요. [2018_4월_전국연합_28번] In neither case was i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deep
선택지 앞의 remains는 2형식 동사로 뒤에 보어가 와야 한다. 형용사가 보어로 쓰일 수 있으므로 이미 뒤에 problematic이 나와 있어 선택지에는 부사가 들어갈 자리가 맞다. 이 문장에서 deeply는 problematic을 수식해 주고 있다.
또는 부사는 문장에서 쓸모 없는 요소이므로, deeply를 삭제하고 문장이 완전하므로 밑줄에는 부사가 들어가야 한다고 해결할 수 있다.
One obvious drawback is the danger involved; knoing that it exists ④ does nothing to reduce it. [이지이지 앱 156번]
[해석] 한 가지 명백한 문제점은 (실험에) 수반되는 위험인데, 위험이 존재한다는 것을 안다고 해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어떤 일을 하게 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출제자의 의도] 동사-수일치
→ 문장에서 필요한 동사가 선택지를 제외하면 하나가 부족하고, 현재시제가 선택지로 나온 것으로 보아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3 동사-수일치
2021/01/18 - [EG강의] - EG 어법강의 #1 동사-문장의 기본 EG 수능 어법강의 세 번째 시간. [동사-수일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 경향을 파악해보도록 하죠. [2019_11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do
밑줄 친 부분의 주어는 동명사구 'knowing that it exists'이다. 동명사는 단수 취급하므로 밑줄에는 does가 들어가는 것이 옳다.
Experimental results derived from a single subject are, therefore, of limited value; there is no way to know ⑤ what the subject's responses are typical or atypical of the response of humans as a group. [이지이지 앱 157번]
[해석] 따라서, 단 한 명의 피험자로부터 얻어진 실험 결과는 가치가 제한적이며, 그 피험자의 반응이 집단으로서의 인간 반응을 대표하는 것인지 아니면 이례적인 것인지 알 방법이 없다.
[출제자의 의도] 접속사 that
→ 접속사 that과 잠재적 경쟁 요소인 what이 선택지로 나와 있는 것으로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7 접속사 that
EG 수능 어법강의 일곱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that-접속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어떤 유형인지 파악해보도록 하세요. [2018_9월_평가원_29번] What some organisms must starve
egeasy.tistory.com
[풀이]
what 뒷 문장이 완전하고, know의 목적어 역할을 하기 위해서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으로 고쳐주어야 한다.
[문장 분석]
Experimental results (derived from a single subject) are, therefore, of limited value; there is no way to know (that the subject's responses are typical or atypical of the response of humans as a group).
첫 번째 괄호 (derived from a single subject)는 results를 후치 수식해주고 있으며,
밑줄 친 of limited value는 'of + 추상명사 = 형용사'의 형태로 앞의 are의 보어 역할을 한다.
두 번째 괄호 (that ~ group)는 명사절로 앞에 나온 know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