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출풀이

EG 어법 기출풀이 [2021_9_29]

by 이지이지(EGEasy) 2021. 9. 2.

안녕하세요. 이지이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1년(2022학년도) 9월 평가원 모의고사 어법 문제 해설을 해보겠습니다.

 

2021년 9월 평가원 모의고사 29번어법 문제

 


 

As far as communication betweewn humans is concerned, such commonality of interests ① is rarely achieved; even a pregnant mother has reasons to mistrust the chemical signals sent by her fetus.

 

 [해석] 

인간 사이의 의사소통에 관한 한, 관심사의 그런 공통성은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는데, 심지어 임산부도 태아가 보내는 화학적 신호를 믿지 못할 이유가 있다.

 

 [출제자의 의도]  동사-수일치

→ 밑줄 부분은 동사가 들어가야 할 자리이고, 현재시제가 사용된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3 동사-수일치

2021/01/18 - [EG강의] - EG 어법강의 #1 동사-문장의 기본 EG 수능 어법강의 세 번째 시간. [동사-수일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 경향을 파악해보도록 하죠. [2019_11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are 

문제에서는 접속사 as far as가 있어, 이 문장 속에는 동사가 2개 있어야 한다. 앞 부분에 동사는 is 한 개 밖에 없으므로 밑줄 친 부분에서는 동사가 들어가야 한다. 밑줄의 주어를 한 단어로 찾자면 commonality 단수이므로 밑줄에 is를 사용하는 것은 옳다.

 


 

A prey can convince a predator not to chase ② it.

 

 [해석] 

먹잇감은 포식자에게 자신을 쫓지 말도록 설득할 수 있다.

 

 [출제자의 의도]  대명사

→ 대명사에 밑줄이 그어져 있는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13 대명사

EG어법 강의 대명사 안녕하세요. EG 어법강의 열 세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명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경향을 살펴보도록 하세요. [2019_9월_평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itself 

대명사가 선택지로 나와있고, 특히 선택지가 목적어 자리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대명사의 수 뿐만 아니라, 주어와 목적어가 같은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그런데 이 문제에서 전체 문장의 주어는 a prey로 밑줄의 it과 같은 것이므로 itself를 써야하는 것은 아닌가라고 착각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전체 문장의 주어가 아니라 it의 의미상 주어를 찾아야 한다.

 

여기에서 it(=prey)의 의미상 주어는 a predator로 주어와 목적어를 다른 것으로 보아야 하고, 따라서 단수 prey를 받아주므로, it을 사용하는 것은 옳다.

 

이는 영어 통사론적 관점에서 소절(작은 절)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예로 이해할 수 있다.

 

ex.) I want you to call me back later.

문장의 주어 = I, me의 의미상 주어 = you

 


 

But for such communication to occur, there must be strong guarantees ③ which those who receive the signal will be better off believing it.

 

 [해석] 

그러나 그러한 의사소통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신호를 받는 자가 그것을 믿는 것이 더 좋을 것이라는 강력한 보장이 있어야 한다.

 

 [출제자의 의도]  접속사 that

→ 선택지 뒷 문장이 완전한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7 접속사 that

EG 어법강의 #7&8 접속사, 관계대명사 that EG 수능 어법강의 일곱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that-접속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어떤 유형인지 파악해보도록 하세요. [2018_9

egeasy.tistory.com

 

 [풀이]  정답

선택지 뒷 문장이 완전하므로 관계대명사 which를 사용할 수 없다. 뒷 문장이 완전할 경우 관계부사 또는 접속사 that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선택지 뒷 문장이 앞의 명사 guarantees를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는 동격을 이루고 있으므로 동격의 접속사 that을 사용해야 한다.

 

 [문장 분석] 

But for such communication to occur, there must be strong guarantees [that those (who receive the signal) will be better off believing it].

 

- for such commuication: to occur의 의미상주어이다.

- to occur: '일어나기 위해서' to부정사의 부사적용법으로 사용되었다.

- [that those ~ believing it.]: 동격의 that절로 앞의 guarantees를 설명해준다.

- (who receive the signal): 선행사 those를 수식해준다.

- those who~ : ~하는 사람들로 해석한다.

 


 

The messages have to be kept, on the whole, ④ honest.

 

 [해석] 

메시지는 전체적으로 정직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출제자의 의도]  형용사vs부사

→ 선택지가 형용사인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12 형용사vs부사

안녕하세요. EG 어법강의 열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형용사vs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유형을 파악해보세요. [2018_4월_전국연합_28번] In neither case was i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honestly 

kept(keep)는 대표적인 5형식 동사로 목적격 보어로 형용사가 와야 한다. 수동태로 쓰여 있어 목적어는 주어로 이동된 the messages이며 선택지가 목적격 보어 자리에 있으므로 형용사 honest를 쓴 것은 옳다.

 


 

In the case of humans, honesty is maintained by a set of cognitive mechanisms that evaluate ⑤ communicated information.

 

 [해석] 

인간의 경우, 정직성은 전달된 정보를 평가하는 일련의 인지 기제에 의해 유지되어야 한다. 

 

 [출제자의 의도]  동사-능동vs수동

→ 선택지를 제외하고 문장에서 필요한 동사는 모두 나와 있어 선택지는 과거분사이므로 이를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4 동사-능동vs수동

EG 수능 어법강의 네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동사-능동vs수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진행vs완료이기도 합니다. 능동vs수동은 어법 문제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선택지입니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communicating 

문제에서 동사는 is maintained로 이미 존재하므로 선택지 communicated는 과거시제가 아닌 과거분사로 보아야 한다. 과거분사는 명사를 수식해 줄 수 있는데, 이 때 명사가 능동의 입장이면 현재분사(-ing)를, 수동의 입장이면 과거분사(p.p)를 사용해야 한다. information(정보)은 전달받는 수동의 입장이므로 과거분사 communicated로 수식해주는 것이 옳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