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 어법 기출풀이 [2022_4_29]
안녕하세요. 이지이지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2022년 4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어법 문제 풀이입니다.
Those players often use crony tactics to retain or expand the protections: a new tariff preventing foreign competition, a subsidy making it harder for new players ① to compete with them, or a regulatory measure that a large company has the resources to comply with.
[해석]
그러한 기업들은 외국과의 경쟁을 방지하는 새로운 관세, 신규 기업들이 그들과 경쟁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드는 보조금, 또는 대기업이 자산을 가지고 있어 준수할 수 있는 규제 조치와 같은 보호책들을 유지하거나 확대하기 위해 정실 전략을 종종 사용한다.
[출제자의 의도] 기타-가목적어-진목적어
→ 선택지 앞에 5형식 동사 making이 있고, 가목적이 it이 이어지는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풀이] 잠재적 오답: to compete를 제외한 기타 동사에서 파생된 유형
make는 어법에 출제될 때 5형식 동사로 많이 사용되며 뒤에 it이 이어질 경우,
가목적어-진목적어 구문이 출제자의 의도인 경우가 많다.
위 문장에서 harder은 목적격보어, for new players는 to compete의 의미상 주어 역할을 하며,
to compete는 진목적어로 사용되었다.
[문장분석]
Those players often use crony tactics to retain or expand the protections: [a new tariff (preventing foreign competition), a subsidy (making it harder for new players to compete with them), or a regulatory measure (that a large company has the resources to comply with).]
- 콜론 뒤의 [ ]는 앞에서 언급한 정실 전략(crony tactics)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세 개의 명사구가 or로 연결되어 있다.
- 세 개의 괄호는 각각 앞에 나오는 명사를 수식해 준다.
Under a capitalist social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has no say in how ② dominantly a company may become in its industry or how companies take over and merge with one another.
[해석]
반면에 자본주의 사회 체제하에서는 정부가 기업이 그것의 산업에서 얼마나 우위를 점하게 될지, 또는 어떻게 기업들이 서로 인수하고 합병하는지에 관해 발언권이 없다.
[출제자의 의도] 형용사vs부사
→ 부사가 선택지인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12 형용사vs부사
안녕하세요. EG 어법강의 열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형용사vs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유형을 파악해보세요. [2018_4월_전국연합_28번] In neither case was i
egeasy.tistory.com
[풀이] 정답 => dominant
선택지가 형용사 또는 부사이고 바로 앞에 how 또는 however이 있을 경우, 선택지는 선택지 뒷 문장에서 보어(형용사) 또는 부사 역할을 한다.
위 문장에서 how dominantly 뒷 문장은 a company may become(2형식 동사) 보어 없음 in industry. 로 보어가 없다.
따라서 보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용사 dominant로 고쳐야 한다.
Furthermore, a capitalist society doesn't have rights-viloating taxes, tariffs, subsidies, or regulations ③ favoring anybody nor does it have antitrust laws.
[해석]
게다가 자본주의 사회는 권리를 침해하는 세금, 관세, 보조금 또는 누군가에게 유리한 규제를 가지고 있지 않고 그것은 독점 금지법도 가지고 있지 않다.
[출제자의 의도] 동사-능동vs수동
→ 선택지가 있는 문장에 이미 동사가 있고, 선택지 앞에 명사가 있는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4 동사-능동vs수동
EG 수능 어법강의 네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동사-능동vs수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진행vs완료이기도 합니다. 능동vs수동은 어법 문제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선택지입니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favored
선택지가 포함된 문장에서는 이미 doesn't have라는 동사가 있으므로 선택지에는 일단 동사가 올 수 없다.
그렇다면 선택지 favoring는 동사가 아닌 현재분사이고 앞에 명사 regulations가 있는 것을 통해 명사를 후치수식할 수 있는 현재분사vs과거분사가 출제자의 의도가 되므로 이는 결국 능동vs수동 문제가 된다.
선택지 뒤에는 목적어 역할을 할 수 있는 명사 anybody가 있으므로 현재분사를 사용하는 것이 옳다.
Under capatalism, dominance can only be achieved by becoming really good at ④ what you're doing.
[해석]
자본주의하에서 우위는 여러분이 하고 있는 것에 정말 능숙해짐으로써 오직 얻어질 수 있다.
[출제자의 의도] what
→ 선택지가 what인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11 what
EG 어법강의 #11 what EG 수능 어법강의 열 한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wha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유형을 파악해보도록 하세요. [2019_6월_평가원_29번] Then the n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that 또는 which
what은 관계대명사이든 의문사(간접의문문에서)이든 명사절을 이끌게 되고,
앞으로는 명사가 하나 부족해야 하고, 뒷 문장도 명사가 하나 부족해야 한다.
위 문장에서는 선택지 앞에는 at 전치사의 목적어가 없고, 뒤에는 doing의 목적어가 없다.
따라서 what을 사용한 것은 옳다.
And to maintain dominance, you have to continue to stay ahead of the competition, which sees your dominance and profits as a sign ⑤ that there is money to be made by others as well.
[해석]
그리고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분은 계속해서 경쟁자를 앞서 있어야 하고, 이는 여러분의 우위와 이익을 또한 다른 사람들이 벌 수 있는 돈이 있다는 신호로 여겨진다.
[출제자의 의도] 접속사 that
→ 선택지 that 뒤의 문장이 완전한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7 접속사 that
EG 어법강의 #7&8 접속사, 관계대명사 that EG 수능 어법강의 일곱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that-접속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어떤 유형인지 파악해보도록 하세요. [2018_9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which
위 문장에서 선택지 that 뒷 문장은 어법상 완전하다.
그런데 that 앞에 명사가 있어 that은 관계대명사이고, 뒷 문장이 불완전해야한다고 착각을 할 수 있다.
하지만 that 앞에 명사가 있고 뒷 문장이 완전하다면 이때 that은 동격의 접속사 that으로 쓰여 that이 이끄는 절이 앞의 명사와 동격을 이루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해석은 관계대명사와 마찬가지로 수식해 주는 식으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