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풀이

EG 어법 기출풀이 [2022_6_9]

이지이지(EGEasy) 2022. 6. 13. 21:30

안녕하세요. 이지이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2년 6월 평가원 모의고사 어법 문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6월 평가원 모의고사 29번 어법 문제

 

 


 

They can be defined as ranging from the communities and interactions of organisms in your mouth or ① those in the canopy of a rain forest to all those in Earth's oceans.

 

 [해석] 

그것(생태계)들은 여러분의 입안에 있는 유기체들의 군집과 상호작용 혹은 열대 우림의 덮개 안에 있는 그것[유기체들의 군집과 상호작용]들에서부터 지구의 바다에 있는 모든 그것[유기체들의 군집과 상호작용]들까지의 범위에 이르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출제자의 의도]  대명사 that

→ 선택지가 those이고 뒤에 전치사구(in the canopy~)가 온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9 대명사 that

EG 어법강의 #9 대명사 that EG 수능 어법강의 아홉 번째 시간. 오늘 강의 주제는 [that-대명사] 입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관련 유형을 파악해보도록 하세요. [2018_11월_수능_29번] Many modern structur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that 

those가 선택지로 나오면 보통 대명사인 경우이고, 이 때 those의 잠재적 라이벌은 that이다. 대명사 that(those)는 같은 문장 내의 명사를 받아주는 역할을 하며 단수를 받으면 that을, 복수를 받으면 those를 사용한다.

문제에서 those는 문맥상 앞에 있는 the communities and interactions of organisms, 복수명사를 받아주는 것으로 올바르게 사용되었다.

 

 


 

The processes ② governing them differ in complexity and speed.

 

 [해석] 

그것들을 지배하는 과정들은 복잡성과 속도의 면에서 차이가 있다.

 

 [출제자의 의도]  동사-능동vs수동

→ 선택지가 있는 문장에는 이미 동사의 역할을 하는 differ이 나와 있고, 선택지가 현재분사(-ing)인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4 동사-능동vs수동

EG 수능 어법강의 네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동사-능동vs수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진행vs완료이기도 합니다. 능동vs수동은 어법 문제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선택지입니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governed 

문제에서 동사는 이미 differ이 나와 있으므로, 선택지는 동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소는 들어갈 수 없다.

문맥상 선택지 앞에 명사가 있으므로 선택지에는 명사를 수식할 수 있는 분사가 올 수 있고, 뒤에 목적어 them이 있으므로 능동의 의미를 가진 현재분사 governing을 사용한 것은 옳다.

 

 


 

There are systems that turn over in minutes, and there are otherswhich rhythmic time extends to hundreds of years.

 

 [해석] 

몇 분 안에 바뀌는 시스템도 있고, 규칙적으로 순환하는 시간이 수백 년까지 연장되는 시스템도 있다.

 

 [출제자의 의도]  기타-관계대명사 whose

→ 선택지가 관계대명사이고, 뒷 문장이 완전한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풀이]   정답 => whose

일반적인 관계대명사 (who, which...) 뒷 문장은 불완전해야 하는데, 위 문제에서는 뒷 문장이 완전하다.

따라서, which의 사용은 잘못된 것이고, 올바르게 고쳐주어야 하는데,

문맥상 선택지 이하가 이끄는 절은 선행사 others를 수식해주는 것이 좋으므로,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를 사용하면 된다.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는 다른 일반적인 관계대명사와 달리, 뒷 문장이 완전해 보인다.

(대학에서 영어 관련 전공을 하였다면 불완전해 보이겠지만, 일반적인 시각에서는 완전해 보입니다.)

 

 


 

Divide an ecosystem into parts by creating barriers, and the sum of the productivity of the parts will typically be found to be lower than the productivity of thoe whole, other things ④ being equal.

 

 [해석] 

어떤 생태계를 장벽을 만들어 부분들로 나누면, 그 부분들의 생산성의 총합은 일반적으로, 다른 것이 동일하다면, 전체의 생산성보다 더 낮다는 것이 발견될 것이다.

 

 [출제자의 의도]  기타-독립분사구문

→ 선택지 앞에 명사가 있고, 명사(other things) 앞의 콤마 이전까지 완전한 문장인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풀이]   잠재적 오답: are 또는 been 등 

문장 가운데에서부터 분사구문이 만들어지면 분사구문 앞 부분은 주절로 완전한 문장이 온다.

분사구문에서는 콤마 뒤에 바로 분사가 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주절의 주어와 부사절의 주어가 다를 경우 부사절의 주어를 생략하지 않는 이른바 독립분사구문이 만들어지게 되고,

이런 경우 문장 구조는 "완전한 문장, 명사(주어) 분사 ~"이다.

 

위 문제의 ,~ other things being equal.의 원래 형태는 if other thigs are equal.정도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원래 문장에서 접속사 if를 생략하고 주절의 주어 the sum of the productivity of the parts와 부사절의 주어 other things가 다르므로 other things는 남겨두었고, are를 분사 being으로 바꾼 것이다.

 

 


 

 Safe passages, for example, enable migratory species ⑤ to survive.

 

 [해석] 

예를 들어, 안전한 통행은 이동하는 생물 종들을 생존하게 한다.

 

 [출제자의 의도]  동사-앞에 나오는 동사

→ 선택지가 있는 문장에서 특정한 동사의 파생형태를 요구하는 enable이 있는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5 동사-앞에 나오는 동사

EG 어법강의 #5 동사-앞에 나오는 동사 EG 수능 어법강의 다섯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동사-앞에 나오는 동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목이 좀 길고 복잡하긴 하지만, 내용은 매우 쉽고, 선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to survive를 제외한 다른 파생형태 

선택지 외에 이미 동사 enable이 나와 있으므로 선택지의 자리에는 동사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형태가 올 수 없다.

게다가 enable은 "enable + 목적어 + to부정사"의 형태를 취하는 동사이므로 to survive로 사용한 것은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