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G 어법 기출풀이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2017년(2018학년도) 6월 평가원 모의고사 28번을 해설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These thieving bees sneak into the nest of an ① unsuspecting "normal" bee(known as the host), lay an egg near the pollen mass being gathered by the host bee for her own offspring, and then sneak back out.
[해석] 도둑질하는 이런 벌은 이상한 낌새를 못 챈 (숙주라 알려진) '보통' 벌의 집으로 슬며시 들어가서 숙주 벌이 자기 자신의 새끼를 위해 모으고 있는 꽃가루 덩어리 근처에 알을 낳고, 그러고 나서 슬그머니 도로 나온다.
[출제자의 의도] 능동vs수동
→ 선택지를 제외하고 문장에서 필요한 동사는 모두 나와 있으며, 현재분사가 선택지로 출제된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4 동사-능동vs수동
EG 수능 어법강의 네 번째 시간. 이번 시간에는 [동사-능동vs수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진행vs완료이기도 합니다. 능동vs수동은 어법 문제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선택지입니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unspected
선택지는 뒤에 나오는 명사 bee를 수식해 주고 있으며, '벌'은 의심하지 않는 주체적 입장이므로 능동의 현재분사를 사용하는 것이 옳다.
When the egg of the thief hatches, it kills the host's offspring and then eats the pollen meat for ② its victim. [이지이지 앱 68번]
[해석] 그 도둑의 알이 부화하면, 그것은 숙주의 새끼를 죽이고, 그러고 나서 자기의 희생자를 위해 마련된 꽃가루를 먹는다.
[출제자의 의도] 대명사
→ 인칭대명사가 선택지인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13 대명사
안녕하세요. EG 어법강의 열 세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대명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경향을 살펴보도록 하세요. [2019_9월_평가원_29번] As long as he
egeasy.tistory.com
[풀이]
선택지는 문맥상 도둑의 알이 부화한 새끼를 가리키는데, 도둑의 알(the egg of the thief)이 단수이므로 its로 받아주는 것이 옳다.
Sometimes called brood parasites, these bees are also referred to as cuckoo bees, because they are similar to cuckoo birds, which lay an egg in the nest of another bird and ③ leaves it for that brid to raise. [이지이지 앱 69번]
[해석] 가끔 탁란 동물로 불리는 이 벌은 뻐꾸기 벌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놓고 그 알을 그 새가 기르도록 두는 뻐꾸기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출제자의 의도] 동사-병렬구조
→ 선택지가 동사의 한 형태이고 선택지 앞에 등위접속사 and가 있는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2 동사-병렬구조
EG 수능 어법강의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사-병렬구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유형을 파악해보도록 하세요. [2019_6월_평가원_29번] For example, we might hear a so
egeasy.tistory.com
[풀이]
선택지 앞에 동사에서 파생된 요소로는 called, are referred, are, lay 등이 있다. 선택지 부분에는 이것들과 하나하나씩 대조하여 가장 적절한 것과 동일한 형태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 문제에서 동사에 -s가 붙은 요소는 아무것도 없어 선택지가 오답이라는 것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문맥상 lay와 연결되어 leaves를 leave로 고쳐야 한다.
They are more ④ technically called cleptoparasites. [이지이지 앱 70번]
[해석] 그들은 더 전문적으로는 cleptoparasite라 불린다.
[출제자의 의도] 형용사vs부사
→ 부사가 선택지로 나온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12 형용사vs부사
안녕하세요. EG 어법강의 열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형용사vs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출제유형을 파악해보세요. [2018_4월_전국연합_28번] In neither case was i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technical
technically는 are called 동사구를 수식해주고 있어, 선택지로 들어가기에 적합하다.
또는 부사는 문장에서 쓸모없는 요소이므로, 선택지를 제외하고도 문장이 성립하기에 선택지에는 부사가 들어가야 한다고 해결할 수 있다.
Clepto means "thief" in Greek, and the term cleptoparasite refers specifically to an organism ⑤ that lives off another by stealing its food. [이지이지 앱 71번]
[해석] 'clepto'는 그리스어로 '도둑'을 의미하여 'cleptoparasite'라는 용어는 구체적으로 먹이를 훔침으로써 다른 것에 기생하는 생물을 가리킨다.
[출제자의 의도] 관계대명사 that
→ that이 선택지로 나와 있고, 뒷 문장이 불완전한 것을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EG 어법강의 #8 관계대명사 that
EG 수능 어법강의 여덟 번째 시간. 이번 시간 강의 내용은 [that-관계대명사] 입니다. 먼저 기출문제를 통해 어떤 유형인지 파악해보도록 하세요. [2020_10월_전국연합_29번] Furthermore, teachers play a cri
egeasy.tistory.com
[풀이] 잠재적 오답: what
that 뒷 문장이 불완전한 것으로 보아 that은 관계대명사로 파악해야 하며, 잠재적 상대인 what과 비교를 해보아야 한다. 앞에 선행사 organism이 존재하므로 관계대명사 that을 사용하는 것은 옳다.
댓글